• 현재위치

    [ 유진 NOW ]
  • 입력 2017.12.12 11:12

눈앞의 이익에 눈멀지 않는 지멘스

독일기업의 철학에서 배우는 경영의 정도 #8

▲ @ Siemens Global homepage, Flicker

 

▶ 특출난 기술혁신의 가문, Siemens家

눈앞의 이익에 연연하지 않고 멀리 내다 본 독일 기업가는 ‘지멘스(Siemens)’ 창업자인 베르너 폰 지멘스와 그의 후손들이다.

베르너 폰 지멘스는 세계 전기산업 발전의 토대를 만든 과학자이자 발명가였다. 기업가로서는 “순간의 이익을 위해 미래를 팔지 않겠다”는 경영철학을 통해 큰 족적을 남겼다. 단기적인 이윤보다는 기술개발에 주력했고, 사회에 공헌하는 기업이 오래 살아남는다는 것이 그의 경영이념이었다. 오늘날 많은 기업들이 장기적인 성장의 선결과제로 꼽는 연구개발(R&D) 투자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그는 이미 오래 전에 실천한 것이다.

오랜 역사를 지닌 기업들이 많은 독일에서도 지멘스 가문은 특출난 경영자를 많이 배출한 가족기업으로 유명하다. 창업자부터 남달랐다. 베르너 폰 지멘스는 1816년 독일 하노버 인근 렌테(Lenthe) 지역의 가난한 농가에서 10명의 형제 중 맏이로 태어났다. 가난 탓에 학교 교육도 제대로 받지 못한 그가 선택한 길은 군대였다. 포병학교 사관후보생이 된 베르너는 탄도학·수학·물리학 등의 기초교육을 받을 수 있었다. 그러던 1846년 베르너는 장거리 무선전신에 쓰일 수 있는 다이얼 전신기를 발명한다. 청년 장교는 이 발명을 계기로 자신의 회사를 설립한다. 1847년 베르너는 기계공인 게오르그 할스케와 동업해 ‘지멘스-할스케 전신 건설회사’를 세웠다.

이후 지멘스의 사업을 확장한 것은 창업자의 두 동생 빌헬름과 칼이었다. 빌헬름은 지금도 강철을 만드는 데 쓰이는 ‘평로법’을 개발해 지멘스의 과학기술을 발전시켰다. 평로법 기술이 에펠탑과 철도 레일도 탄생시킨 것이다. 칼은 러시아 전신망 사업을 수주하는 등 뛰어난 사업수완으로 지멘스를 확장했다.
 

▶ 전쟁이 불러온 사업 위기

지멘스는 그러나 독일의 1차 세계대전 패배로 위기를 맞는다. 독일이 패전하면서 지멘스-할스케사는 영국과 러시아 등 해외 자산을 대부분 몰수당했다. 위기의 순간에 구원투수로 등장한 것은 창업주 베르너 폰 지멘스가 두번째 부인 사이에서 얻은 아들 ‘칼 프리드리히 폰 지멘스’였다. 1차대전으로 지멘스는 자기자본의 40%가량을 잃었으며 해외 자산의 대부분과 특허권도 상실했다. 손에 든 것이 거의 없었던 칼 프리드리히는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지멘스라는 배를 다시금 세계적인 전자기업으로 키워내야 했기 때문. 스스로를 ‘폭풍우 속의 선장’이라고 칭할 정도로 그는 날서린 구조조정을 주도했다. 모든 사업부문을 ‘지멘스-할스케’사와 ‘지멘스-슈커트’사라는 두 개의 지주회사 체제로 정비했다. 여기에 경영이사회와 감독이사회를 통한 지멘스 가족의 지배구조를 확고히 다지며 지멘스를 성장궤도로 복귀시켰다. 1927년 독일 국가철도회사의 경영이사회 의장을 맡았으며 1931년에는 독일 전기기술협회의 초대 의장기도 했다.

히틀러가 이끄는 나치의 등장은 지멘스에 또 다른 위기를 불러 왔다. 칼 프리드리히는 “급진적인 나치가 세력을 키우면 키울수록 독일 경제는 위기에 맞닥뜨릴 것이다”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1933년 히틀러가 정권을 잡으면서 지멘스는 전쟁물자 공급에 나서야 했다. 민간용 제품 생산이 전면 금지됐고 전쟁물자 생산만 가능했다. 전쟁 기간 연합군의 폭격과 이에 따른 피해는 심각했다.

하지만 이것이 전부가 아니었다. 전후 지멘스는 더 큰 위기에 봉착했다. 연합군은 대기업의 지원이 있었기에 나치가 전쟁을 수행할 수 있었다고 판단해 지멘스를 비롯한 독일의 주요 대기업들을 해체하려고 했다. 칼 프리드리히는 밤낮을 가리지 않고 연합군측을 설득하며 그룹 해체를 막기 위해 나섰다. 결국 지멘스 해체계획은 1951년 철회됐다.
 

▶ 생존과 개혁, 그리고 '화려한 변신'

칼 프리드리히의 뒤를 이은 아들 에른스트 폰 지멘스가 지멘스를 맡아 ‘3세 경영’을 시작한 1966년 이후 현 지배구조의 골격을 갖게 됐다. 독일 정부가 대기업 집단에 속하는 회사들 간의 결합규제를 이전보다 강화하도록 증권법을 개정하면서 지멘스의 변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로 떠올랐다. 당시 지멘스 가문은 ‘지멘스-할스케’, ‘지멘스-슈커트’, ‘지멘스-라이니거’ 등 세 개의 지주회사를 거느리고 있었다.

세 지주회사의 공동 감독이사회 의장을 맡고 있던 에른스트 폰 지멘스는 지주회사들을 하나로 통합해 그룹 형태로 지멘스를 재조직했다. 이어 유능한 전문 경영인들을 등용해 회사를 전문경영인 체제로 탈바꿈시켰다. 1971년 에른스트의 뒤를 이어 감독이사회 의장을 맡은 4세대 피터 폰 지멘스도 1981년 의장직을 내놓고 경영일선에서 물러났다. 그렇다고 지멘스 가문의 명맥이 끊긴 건 아니다. 피터 폰 지멘스의 조카이자 동명이인인 피터 폰 지멘스가 1981년부터 5세대 가족의 자격으로 감독이사회에 참여하고 있다.

현재 지멘스의 지배구조는 경영이사회와 감독이사회라는 이원화한 체제로 구성돼 있다. 실질적인 경영활동은 경영이사회가 맡고, 감독이사회는 경영이사회를 통제하는 시스템이다. 감독이사회는 주주총회에서 선출한 10명과 노조를 대표하는 10명 등 총 20명으로 이뤄진 사실상 ‘최고 의사결정 기구’다. 현재 지멘스 가문의 보유 지분은 5.5%로 최대주주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180명에 달하는 지멘스 가족들이 나눠 보유하고 있는 이 지분은 현재 ‘지멘스 VSV’라는 신탁회사를 통해 위탁 관리되고 있다. 160년이 넘는 역사를 지닌 지멘스는 산업재, 에너지, 의료, 인프라 등 4개 부문에 걸쳐 다양한 사업분야를 거느리고 있으며, 전 세계 190여개국에 진출해 약 40만5000명의 직원을 두고 있다. 2016년 매출은 약 900억달러(101조5200억원)를 기록했다.

복합기업인 지멘스는 2011년 들어 도시 인프라 사업을 추가해 화려한 변신에 나섰다. 초고속 도시기차 운영, 기술구축, 에너지 분배(배전) 등 도시 인프라 및 서비스 업무를 맡을 사업부 ‘인프라&시티’를 설립한 것. 인프라 사업부는 165억유로(약 25조원) 규모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회사측은 예상하고 있다. 로셔 CEO는 “지멘스가 전차, 기술개발, 정수처리 등 도시 인프라에 대한 공공 부문이 매년 5%씩 성장해 오는 2015년까지 1000억유로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잘 알려진 것처럼 지멘스는 보청기부터 승강기, 철도차량, 빌딩 자동화, 송·배전 설비, 플랜트 건설 등 수많은 사업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 몇 년 전부터는 강력한 ‘선택과 집중’ 전략을 통해 핵심 비즈니스를 에너지와 산업 자동화, 헬스케어 중심으로 개편하며 더욱 성장하고 있다.

 

저작권자 © 유진에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UPDATED NEWS